ⓒ시사IN 안희태마지막으로 내놓고 싸울 것이 제 목숨밖에 없는 김소연·유흥희 씨(위 왼쪽부터)는 강제 병원 이송도, 응급 조처도 거부했다.
나는 아직까지도 NL이 뭔지, PD가 뭔지 모를 만큼 ‘운동’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없다. 그러니 노동운동에 대해서도 알 리가 없다. 부끄럽지만 마르크스가 뭔지, 사회주의가 뭔지도 제대로 배워 본 적이 없으니 그런 쪽의 지식이라면 어린아이보다 나을 것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륭전자 앞 농성장을 찾은 것은, 사회주의나 노동운동도 잘 모르고 세상 돌아가는 일도 좀처럼 파악하지 못하는 어리석고 감정적인 인간이지만 단 한 가지 진실만은 알기 때문이다. 생명은 귀하다는 것, 산 사람은 살아야 한다는 것.

〈기네스북〉에 오를 정도로 긴 투쟁, 기륭전자 사태에 대해서는 부족한 말을 더 보탤 필요가 없겠고, 나는 지금 이 눈앞의 굳게 닫힌 기륭전자의 철문과 그 앞의 좁디좁은 컨테이너와 내리쬐는 8월의 폭염 아래 경비실 옥상 위에 쳐놓은 남루한 천막 안에서 하루하루 생명이 사그라져가는 두 여성 노동자와, 그 옆에 말없이 놓여 있는 관에 대해서만 쓰려 한다. 내가 쓸 수 있는 것은 오직 그 슬픔에 대해서다.

투쟁도, 동지도, 노동 해방도 모조리 나에게는 생경한 단어지만 이곳에서 사람이 죽어간다는 것은 타는 듯한 햇볕과 함께 아프게 와 닿는다. 그것도 사람을 죽였거나 물건을 훔쳤거나 무언가 죽기에 마땅한 죄를 지어서가 아니다. 공짜로 돈 달라고 한 것도 아니고 단지 정당하게 일하고 싶다,라는 절규 때문에 1000일을 싸우고 기어코 멀쩡한 산 사람이 두 명씩이나 65일 동안 곡기를 끊어도 사측은 꿈쩍도 않고 있다. 곰도 100일 동안 쑥과 마늘을 먹고 사람이 되었는데 원래 사람이건만 1000일을 싸워도 비정규직은 정규직이 못 되는 모양이다. 사측은 말한다. “누가 굶으라고 했냐.” 그 강고하고 오만한 통보 앞에서, 시신이나 다름없는 낯빛의 김소연·유흥희 조합원은 여전히 의연했다. 그것은 마지막으로 내놓고 싸울 것이 제 목숨밖에 없는 이의 얼굴에서만 볼 수 있는 처연한 품위였다.

생각지도 못하게 이곳에 머무르게 된 것은 그 얼굴 때문이었다. 어쩌다 눌러앉아 오늘(8월14일)로 동조 단식을 시작한 지, 농성장에서 보낸 지 9일째지만 두 조합원의 얼굴은 두 번밖에 보지 못했다. 이미 의학적 한계를 넘어선 그분들의 건강에 누가 될까 저어하는 염려도 있었지만, 창백한 얼굴로 미소 지으며 인사하는 그 얼굴을 보자마자 도망치듯 사다리를 내려가 컨테이너 뒤로 기어들어가고 말았다. 물론 나는 노동운동이 뭔지, 노동법이 뭔지 뭣도 모르고 지극히 어리석고 감정적인 인간이기 때문에 여기서 밥 굶고 있지만, 그렇다고 산 목숨을 죽일 수는 없는 것 아닌가. 그런데 기어코 귀한 생명을 죽이고야 말 것 같은, 그 두 얼굴을 그 지경까지 내몬 자본의 냉정함 앞에서 끝도 없이 무력해서 컨테이너 뒤에 숨어서 우는 것 말고는 할 수 있는 일이 없었다.

김소연·유흥희 씨의 단식 농성장에서 동조 단식 중인 김현진씨.
같이 곡기를 끊기 시작한 것은 두 사람의 그 의연한 얼굴 때문이었다. 눈물이 터져나왔지만, 동시에 악이 받쳐올랐다. 누가 굶으라고 했냐고? 이 망할 인간들아, 그러면 나도 굶으련다. 누가 굶으라고 안 했다, 그냥 내가 굶고 싶어 굶으련다. 그냥 나도 죽여라. 누군가는 유치한 객기라고 비웃겠으나, 악이 받칠 대로 받치면 밥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 그렇게 하루 하려던 단식은 3일이 되었고 5일 하려던 단식은 9일이 되었다. 그렇게 나는 오늘도 기륭전자 앞에 앉아 언제 이 여성 노동자들에게 열릴지 모르는 굳게 닫힌 철문을 바라본다. 폭염은 뜨겁고 화장실 한 번 가려면 온 거리를 헤매면서 열린 화장실로 살그머니 들어가야 하고, 마치 노숙자처럼 남 몰래 대충대충 씻고 머리를 감아야 하지만 그래도 나는 여기에 있다. 아마도, 악에 받쳐서일 것이다. 왜 악이 받쳤느냐고는 묻지 마시기를, 그건 나 역시 알지 못한다.

“기륭이 쓰러지면 다음은 우리 차례다”

믿을 수 없게도 배는 고프지 않다. 김소연·유흥희 동지의 얼굴을 생각하면 배 따위 요만큼도 고프지 않다. 물론 나는 내가 이곳에서 할 수 있는 일이 하나도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여전히 여기에 있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그저 두 조합원이 누워 있는 경비실 옥상을 하염없이 바라보며 울고 굶는 것뿐이다. 더 할 게 없어서 그냥 울고 굶는다. 그리고 돈도 없고 힘도 없고, 그저 이 상황을 쓴다. 나는 고작해야 소금기 조금 어린 눈물로 기륭전자 앞의 이 여름을 기록하지만 김소연 분회장은 기어코 사측과 교섭이 결렬된 후 영양소가 얼마 남지도 않은 피로 썼다. 그동안 최소한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섭취해오던 소금도 효소도 모두 끊겠노라고, 혹시 무슨 일이 생기더라도 강제 병원 이송도, 응급 조처도 거부하겠노라고.

그런 일이 제발 없기를 바라지만 만약 이들이 그대로 숨을 거둔다면 그 핏값은 기륭전자뿐 아니라 우리에게 돌아올 것이다. 정부의 언론 장악이 기륭이고, 광우병 문제가 기륭이다. 언론을 국가의 부속으로 삼으려는 음모, 국민을 국가의 부속 취급하는 음모, 노동자를 자본의 부속 취급하는 음모가 죄다 매한가지였다. 우리는 부속이 되지 않기 위해 싸워야 한다. 우리는 부속이 아니라 사람이고 국민이고 노동자다. 모든 노동자는 하나라는 말을 이 철문 앞에 와서야 알았다. 기륭 여성 노동자들, 나아가서 850만 비정규직이 흘린 눈물의 값, 피의 값을 과연 어쩔 것인가. 비정규직을, 핍박받는 여성 노동자들을 동정해서 이 일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이 아니다. 기륭이 쓰러지면 다음은 우리 차례이기 때문이다. 당신이, 내가 싸우지 않는 한 비정규직은 정규직의 미래다. 우리가 기륭이고, 기륭이 우리다. 내 일뿐만 아니라 남 일에도 기꺼이 분노하는 것이 진짜 진보다. 지금 기륭이, 우리를 기다린다. 그들이 당신을, 나를 부른다. 그 부름에 응답하지 않으면 우리는 언젠가 그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다.

10여 일 동안 5kg이 줄었지만 아무렇지도 않다. 이까짓 것, 65일이나 곡기 끊은 이들의 고통에 비할 바 없다. 다만 “누가 너희보고 굶으라고 했느냐”라는 말에 이제는 부디 여러분이 대답해주시기를, 산 사람은 살아야 한다고. 그래야만 한다고.

기자명 김현진 (에세이스트)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