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팬들한테 외면 받은 김성근의 개입주의


마리한화 김성근이 빠진 6가지 착각


2016년 김성근, 몰락인가 반전인가

 

 

김성근(사진)은 아이콘이다. 프로 야구팀의 감독 한 명이 스포츠 전문지를 넘어 일반 언론매체를 뒤덮는 신드롬을 일으켰다. 김성근 감독이 지휘봉을 잡은 2015년 한화 이글스는 단연 화제를 독점한 팀이었다. 마약 같은 야구를 한다는 의미로 ‘마리한화’라는 별명도 붙었다. 한화그룹은 김 감독을 그룹 이미지 광고 모델로 내세웠다.

김성근은 리더십의 아이콘이다. 약체 팀을 맡아서 탁월한 리더십을 발휘해 성적을 끌어올린다는 이미지야말로 김성근 고유의 캐릭터다. 2011년 SK 와이번스 감독직에서 물러난 이후 독립 야구단 고양 원더스를 맡으며 이미지는 더 공고해졌다. 김 감독이 낸 책 제목은 〈리더는 사람을 버리지 않는다〉이다. 영향력은 야구판을 훌쩍 뛰어넘었다. 2012년 대선 때는 박근혜·문재인 대선후보가 앞다투어 고양 원더스를 찾았다. 한화 이글스 감독 선임 직후 그는 박근혜 정부 청와대에서 리더십 강연을 했다.
 

ⓒ연합뉴스

2015년은 김성근식 리더십이 극적인 반전을 겪은 해이기도 하다. 전반기 84경기에서 44승40패(+4)로 돌풍을 일으킨 한화 이글스는, 후반기 60경기에서 24승36패(-12)로 추락했다. 성적보다 내용이 나빴다. 핵심 불펜 투수 권혁은 112이닝을 던졌다. 39세 노장 박정진은 부상으로 마지막 한 달을 쉬고도 96이닝이다. 144경기 리그에서 불펜 투수가 기록해서는 안 되는 수치다. 팔꿈치 수술 경력이 있는 스무 살 유망주 김민우와 혈행장애 이력이 있는 송창식은 선발과 구원을 오가는 하중을 감당했다. 야구팬의 여론은 7월을 고비로 폭발했다. ‘김성근’과 나란히 붙는 단어가 한때는 ‘강훈련’과 ‘성적’이었다. 이제는 ‘혹사’다.

그래서 김성근은 ‘질문’이다. 그를 이 시대 리더의 표상으로 끌어올린 정서는 무엇이었고, 한 시즌 만에 거부 정서가 폭발한 이유는 또 무엇이었나. 우리는 어떤 리더십에 열광하고, 어떨 때 등을 돌리나. 2015년의 김성근은 ‘우리에게 리더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다.

 

 

사람은 착각하는 동물이다. 리더라고 예외는 아니다. 리더의 착각은 조직 전체에 타격을 주기 때문에 더 위험하다. 착각에도 패턴이 있다. 인지과학·행동경제학·경영학 등에서는 인간이 왜, 어떤 식으로 착각하는지를 밝히는 연구가 제법 축적되어 있다. 2015년 ‘김성근의 야구’에 적용해봤다.


1. 손실 회피 편향

동전 던지기 도박이 있다. 앞면이 나오면 100만원을 잃는 반면 뒷면이 나오면 150만원을 얻는다. 확률과 기댓값 계산은 이 도박에 “참여하라!”고 외친다. 하지만 실제 인간은 하지 않겠다고 답하는 게 보통이다. 같은 값이라도 사람은 이득보다 손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를 ‘손실 회피 편향’이라고 부른다.

야구인들과 야구팬이 단연 싫어하는 것이 경기 종반에 당하는 역전패다. 손실 회피 편향이 작동하기 때문에, 손에 들어왔던 승리를 놓치는 것을 보통의 1패보다 훨씬 아프게 받아들인다. 역전패를 두려워하는 감독일수록 좋은 구원투수를 혹사할 가능성이 높다. 7월28일 한화-두산전은 상징적이다. 김성근 감독은 8점 차로 넉넉히 앞선 9회에 이미 피로 누적 징후가 짙던 핵심 불펜 투수 권혁을 올렸다. 야구팬들은 경악했다.

한화의 주력 불펜 투수들은 2015년 기록적인 투구 이닝을 기록했다. 손실 회피 편향은 눈앞의 손실에 민감하게 해주고 팽팽한 경기에 전력투구하게 만들지만, 그렇게 동력이 고갈되면 맥없이 놓치는 경기가 쌓여간다. 한화는 후반기에 24승36패로 추락했다.

 

 

ⓒ연합뉴스

2. 터널링

경제학자 센딜 멀레이너선과 인지과학자 엘다 샤퍼가 〈결핍의 경제학〉에서 제시한 개념이다. 시급히 해결해야 할 위기를 맞이할 때, 우리 뇌는 눈앞의 과제에만 집중하면서 다른 쪽으로는 스위치를 꺼버리는 방식으로 대응한다. 그러다 보면 당장의 문제는 해결하더라도, 시야가 극도로 좁아지면서 그 너머를 보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당신이 전쟁터에 떨어져 있다면 터널링 상태는 꽤 유용하다. 당장 살아남지 못하면 내일도 없고 다음 과제도 없기 때문에, 눈앞의 숙제에 모든 자원을 쏟아야 한다. 하지만 1년에 144경기를 치르는 경기의 감독이라면, 대체로 터널링은 독이다.

3. 기술 착각

대니얼 카너먼은 행동경제학의 틀을 정립해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심리학자다. 그는 주식시장을 연구하면서 ‘기술 착각’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개인투자자의 거래 16만3000건을 분석한 결과 사들인 주식보다 팔아치운 주식의 수익률이 평균 3.2%포인트 높았으니, 그야말로 엉망이었다. 오랜 기간 예측 가능하게 시장 평균보다 높은 수익을 올리는 특별한 ‘기술’이 있다는 믿음은 ‘착각’이다.

야구는 주식시장을 닮았다. 첫째, 단기적으로는 운이 좌우하지만 장기적으로 평균이 지배하는 세계다. 둘째, 그럼에도 평균을 이길 특별한 기술이 있다는 믿음이 결코 사라지지 않는 세계다. 김성근 감독은 평균을 이길 수 있다고 믿는 ‘개입주의’의 아이콘이다.

한화는 선발투수 평균 이닝이 5이닝이 안 되는 두 팀 중 하나다(나머지 한 팀은 전력이 갖춰지지 않은 신생 팀 KT 위즈다). 투수 교체가 잦다. 희생번트는 10개 팀 중 가장 많이 댄다(139개). 선수보다는 감독이 풀어나가는 경기를 한다. 시장 수익률을 훌쩍 상회하는 뮤추얼펀드가 있듯 ‘평균을 뛰어넘는 마법’도 한두 시즌은 등장할 수 있다. 인간은 그 결과를 특별한 기술의 힘으로 해석하고 싶어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평균 회귀의 법칙이 이긴다.

4. 지속 성공의 망상

경영학자 필 로젠바이크는 성공의 비결을 찾았다는 경영학 베스트셀러들을 해부해서, 거기 등장하는 성공 모델 회사들의 시장가치가 책 출간 이후 평균으로 돌아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오래 지속되는 ‘마법’은 없었다. 로젠바이크는 ‘과거의 성공이 미래에도 성공을 보장한다는 믿음’을 ‘지속 성공의 망상’이라고 불렀다.

김성근 감독 부임 시절 SK 와이번스는 리그의 지배자였다. 네 시즌 중 세 시즌을 우승했다. 이 눈부신 성공은 김성근의 이름에 후광효과를 덧씌웠다. 과거의 성공이 그대로 재현된다고 보장하려면 꽤 까다로운 조건이 필요한데, 인간은 대개 검증 과정을 생략하고 성공이 재현되리라 믿어버린다.

5. 확증 편향

심리학자 피터 웨이슨이 1960년에 제시한 확증 편향이란, 정보가 복잡하고 불분명한 가운데 자기 신념에 맞는 정보만 골라 신념을 강화하는 태도를 말한다. 기후변화가 과장되었다고 믿는 보수주의자는 극우 매체 〈폭스뉴스〉를 보고, 동성 결혼을 지지하는 자유주의자는 〈뉴욕 타임스〉를 보는 식이다.

확증 편향은 성공 사례를 여럿 쌓아둔 리더일수록 빠지기 쉬운 함정이다. 자신이 옳다는 증거를 구하기가 대단히 쉽다. 김성근 감독의 책 〈리더는 사람을 버리지 않는다〉는 성공 사례 모음집처럼 구성되어 있고, ‘제자’ 야구선수의 헌사가 곳곳에 채워져 있다. 과거 맡았던 팀에서 혹사로 선수 생활이 끝나거나 위기에 처했던 투수들의 이야기는 “그 선수의 투구폼이나 방탕한 생활 때문에 그랬다는 것을 나는 알지만 밖으로 말하지 않는다” 정도로만 지나간다.

6. 악마의 변호사

똑똑한 사람만 모인 조직도 멍청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상대가 나보다 잘 알겠거니 생각하고, 책임을 회피하다 보면 그렇게 된다. 법학자이자 행동설계 이론가인 캐스 선스타인은 조직의 오판을 방지하는 방안 중 하나로 ‘악마의 변호사’를 추천한다. 일부러라도 조직 내에 반대 의견을 장려해야 한다는 의미다.

김성근 감독에게는 ‘야구는 감독이 전권을 가져야 한다’는 신념이 확고하다. 책에서 그는 “한 팀에 태양이 두 개일 수는 없다”라고 썼다. 그의 감독 생활에서 이 정도 전권을 확보한 것은 2015년 한화 이글스가 처음이다. 하지만 그가 늘 추구하던 전권을 얻는 순간, 조직에는 반대 의견이 증발해버렸다. 올해 한화 이글스는 투수 혹사 외에도 ‘미래와 현재를 맞바꾸는’ 트레이드와 외국인 선수 교체 문제로도 구설에 올랐다.

기자명 천관율 기자 다른기사 보기 yul@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