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팬들한테 외면 받은 김성근의 개입주의


마리한화 김성근이 빠진 6가지 착각


2016년 김성근, 몰락인가 반전인가

 

 

김성근(사진)은 아이콘이다. 프로 야구팀의 감독 한 명이 스포츠 전문지를 넘어 일반 언론매체를 뒤덮는 신드롬을 일으켰다. 김성근 감독이 지휘봉을 잡은 2015년 한화 이글스는 단연 화제를 독점한 팀이었다. 마약 같은 야구를 한다는 의미로 ‘마리한화’라는 별명도 붙었다. 한화그룹은 김 감독을 그룹 이미지 광고 모델로 내세웠다.

김성근은 리더십의 아이콘이다. 약체 팀을 맡아서 탁월한 리더십을 발휘해 성적을 끌어올린다는 이미지야말로 김성근 고유의 캐릭터다. 2011년 SK 와이번스 감독직에서 물러난 이후 독립 야구단 고양 원더스를 맡으며 이미지는 더 공고해졌다. 김 감독이 낸 책 제목은 〈리더는 사람을 버리지 않는다〉이다. 영향력은 야구판을 훌쩍 뛰어넘었다. 2012년 대선 때는 박근혜·문재인 대선후보가 앞다투어 고양 원더스를 찾았다. 한화 이글스 감독 선임 직후 그는 박근혜 정부 청와대에서 리더십 강연을 했다.
 
 

ⓒ연합뉴스


2015년은 김성근식 리더십이 극적인 반전을 겪은 해이기도 하다. 전반기 84경기에서 44승40패(+4)로 돌풍을 일으킨 한화 이글스는, 후반기 60경기에서 24승36패(-12)로 추락했다. 성적보다 내용이 나빴다. 핵심 불펜 투수 권혁은 112이닝을 던졌다. 39세 노장 박정진은 부상으로 마지막 한 달을 쉬고도 96이닝이다. 144경기 리그에서 불펜 투수가 기록해서는 안 되는 수치다. 팔꿈치 수술 경력이 있는 스무 살 유망주 김민우와 혈행장애 이력이 있는 송창식은 선발과 구원을 오가는 하중을 감당했다. 야구팬의 여론은 7월을 고비로 폭발했다. ‘김성근’과 나란히 붙는 단어가 한때는 ‘강훈련’과 ‘성적’이었다. 이제는 ‘혹사’다.

그래서 김성근은 ‘질문’이다. 그를 이 시대 리더의 표상으로 끌어올린 정서는 무엇이었고, 한 시즌 만에 거부 정서가 폭발한 이유는 또 무엇이었나. 우리는 어떤 리더십에 열광하고, 어떨 때 등을 돌리나. 2015년의 김성근은 ‘우리에게 리더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다.

김성근 리더십을 관통하는 핵심 서사는 두 축이다. 성과주의, 그리고 비주류 코드. 개요는 이렇다. 재일 동포 출신의 ‘비주류’ 김성근은 가는 팀마다 ‘기득권(구단)’의 미움을 받지만, 가는 곳마다 꼴찌 팀을 포스트시즌에 진출시키거나 연속 우승을 만들어내는 ‘성과’를 뽑아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 기득권은 그를 몰아낸다. 2002년 한국시리즈 준우승 이후 LG 트윈스 감독에서 경질되고 4년간 3회 우승을 거두고도 2011년 SK 와이번스 감독에서 물러나면서, 핍박받는 ‘비주류’와 탁월한 ‘성과주의’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서사가 구성됐다.

묘하게도 두 개의 축은 수요층이 다르다. 비주류 코드에 열광하는 수요는 야구장 밖에서 더 자주 발견된다. 진보 성향 언론이나 야당 인사들이 김성근 감독에게 열광하는 장면이 드물지 않다(2016년 김성근, 몰락인가 반전인가 기사 참조). 하지만 야구판으로 범위를 좁히면, 김성근 리더십의 핵심은 성과주의다.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9월까지 김성근 감독에 대한 여론 지형이 어떻게 바뀌어갔는지 추적했다. 여론이 폭발하기 시작한 올 7월을 기준으로 전기(〈그림 1〉)와 후기(〈그림 2〉)로 나누었다. 전기의 핵심 키워드는 ‘훈련’이었고, 후기의 핵심 키워드는 ‘혹사’였다. 

 

〈시사IN〉은 데이터 기반 전략 컨설팅 회사 ‘아르스 프락시아’와 함께 유력 야구 커뮤니티인 ‘엠엘비파크’에서 김성근 감독에 대한 여론 지형이 어떻게 바뀌어갔는지를 추적했다. 김 감독 영입 청원 릴레이가 벌어진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9월까지, 김성근 감독 관련 게시글 2만8475개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여론이 폭발하기 시작한 올 7월을 기준으로 ‘전기’와 ‘후기’를 나누었다. 그 결과가 위 〈그림 1〉과 〈그림 2〉다. 동심원의 안쪽에 있을수록 핵심적이거나 등장 빈도가 높은 키워드다.

전기 김성근 여론(〈그림 1〉)에서 핵심 키워드는 ‘훈련’이었다. 야구팬 사이에서 김성근 감독은 무엇보다도 ‘훈련’과 동의어였다. 김 감독의 지옥훈련은 강도와 훈련량 모두 악명이 높지만, 그런 훈련 덕분에 SK 와이번스가 최강팀이 될 수 있었다고 믿는 야구팬이 많다.

김 감독도 훈련을 본인 야구의 중요한 축으로 생각한다. 책 〈리더는 사람을 버리지 않는다〉에서 그는 이렇게 쓴다. “나는 강한 훈련만이 훌륭한 선수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SK 와이번스 감독 시절 그는 훈련량이 적은 몇몇 팀에 은근히 적대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전반기에도 야구팬들은 김 감독 특유의 ‘투수’ ‘혹사’ 문제를 알고 있었다(바깥 원 오른쪽 상단). 하지만 한화 이글스는 워낙 ‘성적’이 나쁘고 ‘문제’가 많은 팀이었다(바깥 원 오른쪽). 강훈련으로 대표되는 김성근식 야구는 어느 정도 혹사를 감수하더라도 매력 있는 대안으로 보였다.

훈련은 사실상 ‘노력’과 동의어다. 성적이 나쁜 것은 재능이나 시스템의 합리성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노력을 하지 않아서다. 그러니 노력하도록 개입하고 채근하는 엄한 아버지 같은 리더가 필요하다. 30대 가장을 “아이”라고 부르며 탈진할 때까지 굴리는 리더에 팬들은 열광했다. 이 ‘엄한 아버지’는 때로 일부의 희생을 감수하더라도 가혹한 리더십을 발휘하고, 그 과정에서 쏟아지는 비난에는 말 대신 성적이라는 결과물로 답한다. 리더의 뜻을 모르고 거치적거리던 반대파는 결국 드러난 성과 앞에 할 말을 잃는다. 이렇게 풀어놓고 보면 한국 사회에 무척 익숙한 리더십 모델이다.

이 모델은 7월부터 이상 징후를 보이기 시작하다가 8월에 결국 고장이 났다. 한화 이글스는 8월 한 달 동안만 9승16패로 무너졌다. 이때부터 여론도 따라서 폭발한다. 월 100단위를 넘지 않던 관련 게시글이 9월에는 1만5000건을 넘어간다. 〈그림 2〉는 7~9월의 김성근 여론이다. 이때는 핵심 키워드가 ‘혹사’다. 주변적이거나 감수할 만한 희생 정도로 간주되던 문제가 이제는 담론 한가운데로 들어왔다. ‘모두를 위한 일부의 희생’이라는 방어 논리는 빛을 잃었다.

‘내년’이라는 의미심장한 키워드

특히 두 가지가 문제였다. 첫째, 모두를 위한다고 선수 개인을 희생시켜도 되는가. 〈그림 2〉에는 한화 투수인 ‘송창식’과 ‘권혁’이 담론지도의 주요 단어로 등장한다. 둘 다 혹사당했다는 평가를 받을 만한 기록을 남겼다. 두 번째 질문이 더 중요한데, 일부를 희생시키는 게 과연 모두를 위한 일이기는 한가. ‘야구’ ‘올해’만 하고 ‘내년’에는 안 할 거냐는 질문이 한화 이글스 팬들을 괴롭혔다.
 

‘내년’은 특히 의미심장한 키워드다. 야구와 같이 ‘장기로 가면 평균으로 수렴하는 세계’에서는, 시야가 단기적인가 장기적인가는 때로 성패를 가르는 문제가 된다. 보통은 당장 눈앞의 승패가 중요한 야구팬이 단기 성과를 추구하곤 하지만, 8월 이후 팀의 추락을 지켜본 팬들은 반대 방향으로 결집했다. 시즌은 길고, 그런 식의 총력전 공세를 1년 내내 펼칠 수는 없으며, 언제고 평균 회귀의 법칙이 청구서를 보내올 것이다(마리한화 김성근이 빠진 6가지 착각 기사 참조).

야구팬의 시야가 좀 더 먼 곳을 보고 있었다. 김성근식 개입주의 모델은 예전만큼 잘 작동하지 않았다. 길게는 30년씩 프로 야구를 보아온 야구팬들은 더 이상 눈앞의 한 경기를 투수의 팔꿈치와 맞바꿀 가치가 있다고 믿지 않는다. 수술 경력이 있는 스무 살 유망주 투수 김민우가 불펜 등판 후 하루를 쉬고 선발(금기에 가까운 투수 운용이다)로 예고되던 날, 한화 팬들은 그야말로 폭발했다.

이것은 성과주의를 기각한 것일까. 그렇게 보기에는 여론의 폭발 시점과 한화의 성적 추락 시점이 너무 잘 맞아떨어진다. 분석에 잡힌 야구팬의 주류 정서는 오히려 이런 것이었다. 리더가 일일이 개입하고, 지도자의 판단에 따라 자원을 집중하는 ‘요소투입형 모델’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다는 확신, 그러니까 성과를 위해서라도 개입주의 모델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공감대였다.

최근 리그 상위권을 형성하는 삼성 라이온즈, NC 다이노스, 넥센 히어로즈는 모두 감독의 개입주의 야구와는 거리를 둔 모델로 성공하고 있다. 이들 팀은 평균을 이기려 드는 ‘엄한 아버지’가 아니라 평균 자체를 끌어올리는 데 초점을 둔 ‘합리적인 시스템 관리자’ 모델로 더 잘 설명된다. 야구팬은 이제 대안 모델에도 충분히 익숙한 상황이었다. 2015년 가을, 한국 야구에서 기각된 것은 성과주의가 아니었다. 요소투입형 개입주의로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믿음이 기각됐다.

기자명 천관율 기자 다른기사 보기 yul@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