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연재되던 ‘책으로 읽는 세상’과 ‘오래 두고 읽는 책’이 ‘책세상’이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출발합니다. 출판계 이슈나 묻혀 있던 책 등 책과 관련된 것이라면 무엇이든 자유로운 형식으로 담을 예정입니다.

〈예술가의 항해술〉은 영국의 문예지 〈화이트 리뷰〉에 실렸던 예술가들의 인터뷰를 모은 책이다. 인터뷰이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 리처드 웬트워스, 구스타프 메츠거, 쥘리아 크리스테바, 레베카 솔닛, 머리나 워너, 뤽 타위만스, 파울라 헤구, 존 스테제이커, 엘름그린 & 드락셋, 소피 칼, 유르겐 텔러. 이번 서평은 책을 따라 인터뷰 형식으로 작성했다. 편의상 질문자는 ‘금’으로 답변자는 ‘연’으로 표기한다.

:이 책을 고른 이유가 궁금하다.

:원래 서경식 선생의 〈내 서재 속 고전〉에 대해 쓰려고 했다. 책도 읽었다. 그런데 담당 기자로부터 그 책을 이미 다루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언론에 대해 내가 이해하지 못하는 수백 가지 것이 있는데, 그중 하나는 그들이 중복을 호환마마보다 싫어한다는 점이다. 물론 지면은 한정되어 있고 책은 많으니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때로는 두 권의 책에 대한 두 개의 글보다는 한 권의 책에 대한 서로 다른 두 개의 글이 더 필요한 경우도 있다.

:당신은 지금 상식적인 인간을 흉내 내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상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인터뷰 형식으로 서평을 쓸 것 같지는 않은데….

:그 밖에도 여러 다양한 서평이 가능하다. 달리면서 쓰는 서평부터 수영하면서, 배를 타고 노를 저으면서, 택시 안에서, 비행기 안에서, 또 흔하게는 침대에서 쓰는 서평까지. 형식의 변화는 균질화에 저항하는 한 방법이다.

:그건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의 말을 단어 몇 개만 바꾼 것처럼 들린다.

:그런 면이 없지 않다. 나는 손버릇이 꽤 나쁜 것 같다. 뭔가 마음에 들면 내 것으로 만들어야 직성이 풀린다.

:그 또한 리처드 웬트워스의 말이다.

:때때로 텍스트는 새로운 맥락을 부여받음으로써 더 의미심장해지거나 더 급진적인 성격을 띠게 되기도 한다.

:이건 엘름그린과 드락셋… 넘어가자. 인터뷰를 읽을 때 중점적으로 보는 게 있나?

 

미술계 영향력 1위로 꼽히는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

:질문이나 답변의 내용보다는 방식에 주목하는 편이다. 솔직하거나 위악적이거나, 넘치거나 모자라거나, 질러가거나 돌아가는 각자의 스타일이 흥미롭다. 물론 내용도 중요하다. 내가 몰랐던 이야기를 들으며 배움을 얻기도 하고 익히 아는 이야기를 통해 그들과 나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기도 한다. 일례로 머리나 워너는 어린 시절 부모 몰래 이불 속에서 손전등을 켜고 책을 읽던 이야기를 하는데, 나도 그랬다. 심지어 그 시절에 푹 빠져서 읽은 책도 같다. 코난 도일의 〈배스커빌 가의 개〉.

:차이점은?

:그들은 훌륭하고 난 아니라는 것.

:그걸 알기 위해 굳이 책 한 권을 읽을 필요는 없을 것 같다. 가장 인상적이었던 인터뷰는 무엇이었나?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와 존 스테제이커. 큐레이팅이라는 개념과 작업 방식으로서의 콜라주는 요즘 내가 줄곧 생각하는 것들이다. 그 밖에도 인상적인 이야기가 많았는데 솔직히 잘 기억나지 않는다.

 


:그렇다면 왜 책을 읽는가?  

:읽지 않으면 그조차 남지 않으니까. 레베카 솔닛은 이렇게 말했다. 세상에는 책이 없으면 못 사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다. 책을 읽어도 좋고 안 읽어도 그만인 사람이 있는 한편, 책의 마법에 걸려 다른 세상에, 책들이 사는 세상에 사는 사람이 있다.

:마지막 질문이다. 이렇게 혼자 묻고 답하는 서평을 쓴 소감이 어떤가?

:금연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연금을 들거나.

:당신은 좋은 인터뷰이는 아닌 것 같다.

:당신도 좋은 인터뷰어는 아니다.

기자명 금정연 (서평가)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