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라 그렇겠지, 살아 있는 것들에 저절로 눈이 간다. 석 달 열흘 안 빗은 머리채 같던 버드나무 가지가 연둣빛 여린 잎을 조랑조랑 달고 낭창거리지를 않나, 가지마다 쪼글쪼글 올라오는 어린 잎 덕에 은행나무는 초록빛 레이스를 두른 것 같다. 풀기 없던 앞산 뒷산도 생기가 돈다.

고개를 돌리면 참새가 포르르 날아오르고, 바람이 불면 라일락 짙은 향기가 코끝을 간질인다. 사람 손길 잦은 화단에는 온갖 꽃이 흐드러졌고, 배기가스 풀풀 날리는 찻길 귀퉁이에도, 쓰레기더미 쌓인 공터에도 노란 민들레가, 해끗한 꽃마리가, 제비꽃이 배죽 고개를 내민다.

이렇게 색채로 향기로 소리로 끊임없이 꾀어대니 제아무리 자연보다는 사람이 만든 것에 더 관심 많은 ‘아스팔트 킨트’라도 한눈팔지 않을 재간이 없다.

봄에는 자연이 참 착해 보인다. 장마철 짙푸른 초록은 색깔도 향기도 너무 강렬해 압도당하는 기분인데, 봄의 신록은 색도 향기도 순하다. 꽃도 그렇고 벌레도 그렇고 땅도 그렇다. 그리고 이태수의 그림도 그렇다. 같은 세밀화라도 이태수의 그림은 어딘지 모르게 순하고 애틋하다.

ⓒ<숲속 그늘 자리> 이태수 글·그림/고인돌 펴냄

눈을 낮추고 찬찬히 보는 자연

‘생태 화가 이태수의 세밀화 앨범’이라는 부제가 붙은 〈숲속 그늘 자리〉는 “자연을 그림에 담는 일”을 하는 사람이 5년 동안 이곳저곳을 다니며 그린 그림에 짧은 글을 덧붙인 것이다. 집 가까이 경기도 일대로부터 설악산이며 경남 창녕 우포늪까지 도시·농촌·늪·산·바닷가·무덤가를 아우르며 꽃·새·곤충·버섯·애벌레, 심지어 지렁이 똥까지 다양하게 그렸다. 글은 일기 같기도 하고 편지 같기도 하다. 생태 세밀화 옆에 붙는 글이 으레 그렇듯 생태나 특징, 쓸모를 밝히기보다는 소박하고 진솔하게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담았다.

커다란 잎사귀 밑에 숨어 핀 손톱만 한 족두리풀꽃, 아기 손처럼 작고 여린 고사리순, 연잎 위에서 젖은 날개를 말리는 잠자리, 모래밭에 구불구불 아름다운 곡선을 남기며 가는 서해비단고둥, 긴 목을 잔뜩 움츠리고 우두커니 서 있는 왜가리, 오래된 기와지붕 위에서 꽃을 피운 바위솔…. 저마다 표정이 있고 몸짓이 있고 사연이 있고 제 몫의 삶이 있다.

이 책에 그려진 돌멩이는 “부딪혀 깨지고 모난 곳 닳고 닳아 상처투성이 작은 돌”이고, 호반새는 “시름에 찬 눈빛으로 울타리 쇠기둥에 한참 앉아 있다가” 그 맑고 깊은 목소리를 내지 않고 그냥 가버린 새다.

놀이도 ‘체험학습’이 된 세상이다. 그러나 자연은 이렇게 만나야 한다. 걸음을 멈추고, 허리를 숙이고, 눈을 낮추고, 찬찬히. 자세히 보아야 예쁘고, 오래 보아야 애틋하고, 들여다보아야 보인다.

기자명 최정선 (어린이책 기획·편집자)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