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도 더 된 일이다. 1996년 〈라이프〉라는 유명한 잡지에 한 소년이 축구공을 바느질하는 사진이 실린다. 세계적 스포츠용품 회사인 나이키의 수제 축구공 광고였다. 광고가 나가자마자 전 세계에서 나이키에 맹비난이 쏟아졌다.

비난의 요지는 ‘코 묻은 손으로 만든 피 묻은 축구공’이라는 것. 광고에 나온 소년은 수제 축구공 생산지로 유명한 파키스탄의 열두 살 아동이었다. 소년은 공 하나를 만들기 위해 5각형 가죽 조각 12개와 6각형 가죽 조각 20개를 무려 1620번이나 바느질해야 했다. 이렇게 공 하나를 만들어서 받는 돈은 고작 100~150원. 수만원을 호가하는 축구공 가격에 비해 턱없이 적은 액수였다. 아동 학대이자 착취인 것이다. 나이키에 대한 비난은 매출 폭락으로 이어졌다. 나이키는 1997~1998년, 설립 이후 처음으로 매출액이 절반 이하로 뚝 떨어지고 주가가 37% 하락했다. 그 바람에 직원 1600명이 해고되었다.

대한항공 조양호 회장 일가의 폭언과 욕설, 끔찍한 갑질 폭력을 보면서 나이키의 〈라이프〉 광고 사건이 떠올랐다. 나이키 사례는 기업이 인권을 도외시했을 때 어떤 참혹한 결과에 직면하는지 알려준다.

갑질은 심각한 인권침해이자 차별 행위다. 제아무리 기업의 오너나 고위 경영자라 할지라도 개별 노동자의 존엄성을 짓밟고 하대하고 굴욕감을 느끼게 하며 폭력을 행사할 권한은 없다. 조 회장 일가가 마구 휘두른 갑질 행태는 마치 봉건왕국의 노예에게 자행되던 비인간적인 행동들과 크게 다를 바 없다.

전 세계의 인권 문제를 주요 의제로 다뤄온 유엔은 일찍이 인권에 기반한 기업 경영을 제시하고 이를 위해 노력해왔다. 1999년 코피 아난 유엔사무총장이 세계경제포럼에서 제안한 뒤 2000년 유엔글로벌콤팩트(UNGC)와 2006년 유엔책임투자원칙(UN PRI) 등이 만들어졌다. 유엔글로벌콤팩트의 10대 원칙 맨 앞줄에는 “기업이 인권 보호를 지지하고 존중해야 하며, 인권침해에 연루되지 않도록 적극 노력해야 한다”라고 명시돼 있다.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에 웬 ‘인권’이냐고 반문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직장 내 성희롱과 성폭력, 채용 과정에서의 학력차별과 성차별, 열악한 노동환경으로 인한 노동자의 건강권 침해, 노조 탄압이나 사찰, 그 밖에 초국적기업의 이주노동자나 아동노동 착취 등은 일터에서 발생하는 주요 인권 사안이다. 전통적으로 시민의 인권 보장은 국가 책임으로 규정되어 있지만 현대사회에서 기업의 영향력은 개별 국가의 법과 통제를 벗어난다. 기업의 책임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인권침해 저지를 때 이윤 추구라는 기업 목적도 구현하기 어려워

인권은 기업으로서는 비켜가고 싶은 껄끄러운 주제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나이키에서 보듯 기업이 인권침해를 저지를 경우, 이윤 추구라는 기업의 목적 그 자체도 구현하기 어렵다. 인권침해로 인해 경영상 심각한 타격을 입은 사례는 부지기수다. 일본 미쓰비시 자동차는 사내 성희롱을 방치했다가 무려 473억원을 손해배상해야 했고, 최근 인종차별 논란에 휩싸인 스타벅스는 소비자들의 불매운동 조짐이 보이자 200억원 정도의 손실을 감수하고 전 직원 인권교육을 위한 휴업을 선포하기도 했다.

 

ⓒAP Photo케빈 존슨 스타벅스 최고경영자(CEO)가 2016년 12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투자자 행사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시내의 한 스타벅스 매장이 주문하지 않고 앉아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흑인 고객을 경찰에 신고해 인종차별 논란과 함께 불매운동까지 벌어지자 존슨 CEO는 16일(현지시간) ABC 방송에 출연, 피해자들과 만나 유감을 표시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건설적 방안을 찾고 싶다고 말했다 .

 


대한항공 조 회장 일가의 슈퍼 갑질은 인권 경영에 앞장서야 할 오너 일가가 오히려 인권침해와 차별의 가해자라는 점에서 더욱 부끄러운 일이며 심각성 또한 크다. 대한항공 사태는 오너 일가 몇 명이 조직에서 물러난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조직에서 갑질·폭력·인권유린을 몰아내고, 사원 한 사람 한 사람을 존엄하고 평등한 존재로 대우하며, 인권에 기반을 둔 경영을 기본 원칙으로 삼을 때 근원적으로 해결될 것이다.

그건 설사 조 회장 일가 모두가 물러나고 새로운 경영진이 들어서더라도 마찬가지다. 일자리를 걸고 촛불집회에 나선 대한항공 직원들의 요구도 이와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인권 존중 경영에 대한 믿음이 생기기 전에는, 당분간 대한항공을 타고 싶지 않다.

 

 

기자명 문경란 (인권정책연구소 이사장)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