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업 뮤지션과는 되도록 거리를 둬야 한다고 믿어왔다. 이유는 명료하다. 음악을 평할 때 찜찜함을 남기고 싶지 않아서다. 지금까지는 이 원칙을 꽤 잘 지켜왔다고 자부하는 편이다. 하긴, 워낙 낯을 가리는 성격인지라 지키는 데 큰 어려움은 없었다. 언제 기회 되면 유병재씨랑 누가 더 낯을 가리나 내기 한번 해보고 싶다.

최근 이 원칙에 큰 고민을 가져다준 음악 책을 하나 읽었다. 아니, 음악 책이라기보다는 ‘뮤지션에 관한 책’이라고 표현해야 정확할 것이다. 제목은 〈신해철:In Memory of 申海澈 1968-2014〉(돌베개 펴냄). 그렇다. 이 책은 고 신해철에 대한 평전 성격을 띠고 있다. 내게는 대선배라 할, 음악평론가 강헌이 지은이다.

아직도 기억난다. 내가 20대였던 시절 〈리뷰〉라는 계간지가 있었다. 내 주변에 음악 좀 좋아한다는 사람 중 거의 모두가 이 계간지를 읽었다. 그중에서도 강헌 평론가가 진행한 두 명과의 인터뷰를 잊지 못한다. 바로 서태지와 신해철이다. 둘 중 신해철과 했던 인터뷰가 확장 버전으로 이 책에 수록되어 있는데, 신해철 관련한 인터뷰 중 이게 최고라고 단언할 수 있을 정도로 내용이 좋다. 겉핥기식 인터뷰가 아닌 진짜 인터뷰. 그러니까, ‘상호 간의 관점을 교환하면서 독자에게 어떤 통찰을 제공하는’ 인터뷰 말이다.

ⓒ시사IN 윤무영강헌 평론가가 신해철(사진) 평전 〈신해철:In Memory of 申海澈 1968-2014〉를 펴냈다.

인터뷰를 포함한 책 전체를 보면서 ‘이건 현재의 내가 할 수 없는 콘텐츠’라는 판단이 섰다. 나와 신해철 간의 사적인 인연이라고 해봐야 인터뷰 한 번에 일주일 정도 라디오를 함께했던 것에 불과해서다. 즉, 이 책은 뮤지션을 넘어선 ‘인간’ 신해철에 대해 강헌 평론가만이 쓸 수 있는 결과물이다. 나는 신해철이 왜 (가끔은 음악 밖의 영역에서도) 가시면류관을 쓰면서까지 변화를 부르짖었는지, 이 책을 통해 다시금 격하게 공감했다. 

책에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강헌 평론가 특유의 화려한 수사학이 누군가에게는 부담스러울 수도 있다고 본다. 가끔씩 보이는 예스러운 표현들이 눈에 거슬리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걸로 트집 잡기에는 책 내용 자체가 독보적으로 출중하다. 그의 문장력 역시 변함없이 탁월한 수준이다.

모든 음악평론가들의 버킷리스트

뮤지션 한 명에 대해 깊이 있는 책을 내는 것은 모든 음악평론가들의 버킷리스트 중 하나다. 강헌 평론가의 경우, 신해철과 조용필에 대해서만은 자기가 ‘누구보다 잘 쓸 수 있다’고 확신해왔을 것이다. 20대 시절 문화센터와 모교에서 그의 강의를 들은 경험을 떠올려볼 때, 나는 그가 확신해왔다는 걸 확신할 수 있다.

책에도 나오는, 이 두 뮤지션의 명반 리스트 순위에 관한 그의 도그마에 가까운 주장은 잠시 물리기로 하자. 비판의 맥을 잘못 짚었다는 정도만 부기해둔다. 이 모든 걸 뒤로하고, 〈신해철:In Memory of 申海澈 1968-2014〉는 신해철이라는 항성에 대한 가장 입체적이고도 인상적인 주석이라 할 만하다. 그 항성을 동경하며 주위를 떠돌았던, 나를 포함한 수많은 위성이 이 책을 읽으며 그를 그리워할 것이다.

기자명 배순탁 (음악평론가)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