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라뮌 씨(60)는 미얀마 북서부 아라칸 주(라카인이라고도 함) 시트웨 시 외곽에 자리 잡은 ‘로힝야 피란민 캠프’에 산다. 지난 7월4일 그는 이웃 6명과 함께 보트를 사러 시내와 인접한 부둣가로 갔다. 자동차로 5분 정도 걸리는 거리이지만 로힝야 피란민들이 캠프를 벗어나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먼저 캠프를 둘러싼 검문소를 통과해야 한다. 경찰에게 뒷돈을 챙겨 줘야 경찰차를 타고 시내로 이동할 수 있다. 우라뮌 씨 일행이 부둣가에 모습을 드러내자 라카인족 100여 명이 벽돌 등을 던지며 공격했다. 우모누 씨(60)가 현장에서 즉사하고 두 명이 중상을 입는 등 일행이 모두 다쳤다. 우라뮌 씨 이웃 샤피(가명) 씨는 사건 발생 일주일 후 기자에게 “(우라뮌 씨는) 시트웨 종합병원에 입원했다가 충분한 치료를 받지 못한 채 이틀 만에 캠프로 돌아왔다”라고 전했다.

 

ⓒ이유경2012년 이슬람교도 로힝야족과 불교도 라카인족 간 충돌로 200명 이상이 숨지면서 종족 갈등이 증폭됐다. 사망자 대부분은 로힝야족이었다.

7월4일 공격은 아라칸 주 치안 상황이 악화되는 중에 발생했다. 방글라데시와 국경을 맞댄 아라칸 주에는 로힝야족 100만명 정도가 거주한다. 라카인족을 비롯해 미얀마인 다수가 불교를 믿는데, 로힝야족은 이슬람교를 믿는다. 이슬람교도인 로힝야족은 그동안 방글라데시 출신 불법 이민자로 취급받는 등 오랫동안 박해를 받아왔다. 지난 2012년에는 로힝야 남자가 라카인족 여성을 성폭행했다는 소문이 돌면서 두 소수민족 간 충돌로 200명 이상이 숨졌다. 숨진 이들 대부분은 로힝야족이었다. 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는 2013년 보고서에서 미얀마 정부가 라카인족의 로힝야족에 대한 ‘인종 청소’를 방조했다고 비판했다. 이 유혈 사태 이후 미얀마 정부는 로힝야족을 따로 마련한 캠프에서 살게 하고, 이들이 이동할 때 당국의 허가를 받게 했다.

최근 아라칸 주 북부의 마웅다우에서는 이슬람교도인 로힝야족과 불교도인 라카인족 간 폭력을 조장하는 움직임도 보인다. 로힝야족을 대변하는 언론 〈로힝야 블로거〉는 지난 6월24일 마웅다우 지역 로힝야 마을에 나타난 라카인족 남성 4명이 공격을 받아 2명이 숨졌다고 보도했다. 6월26일 이번에는 라카인족 100여 명이 정부군과 함께 같은 마을에 들이닥쳐 로힝야 남성 18명을 살해했다는 후속 보도가 나왔다. 보복 살인으로 비쳤다.

 

ⓒ시사IN 최예린

그런데 6월24일 라카인족 살인 사건과 관련해 로힝야족 반군단체 ‘아라칸 로힝야 구원군(ARSA)’은 자신들이 공격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종족 간 갈등을 증폭시키기 위한 정부군의 수법이라고 맹비난했다. 〈로힝야 블로거〉는 후속 보도에서 6월24일 로힝야 마을에 나타난 라카인들은 사복을 입은 미얀마 정부군으로 밝혀졌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유엔에 비자 내줄 수 없다”

지난해 10월9월 로힝야족 무장 반군이 경찰 초소 세 곳을 공격했다. 이 공격 직후 미얀마 정부군은 이른바 ‘청소 작전’을 감행했다. 정부군은 로힝야족을 사살하고 가옥을 불태우기도 했다. 청소 작전 4개월 동안 로힝야족 7만5000명이 방글라데시로 탈출했고, 사망자는 1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되었다. 지난 2월 유엔 인권고등판무관실이 발표한 ‘긴급보고서’에는 이 기간에 정부군이 저지른 집단 강간, 방화, 고문과 학살 등의 증언이 상세히 담겨 있다. 어린아이들도 피해를 받았다. 최근 세계식량기구는 지난해 10월 이후 현장 조사를 토대로 마웅다우 지역 5세 미만 어린이 8만여 명이 ‘심각한 영양실조’를 겪고 있다며 긴급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아웅산 수치 국가자문역이 이끄는 미얀마 정부는 국제사회의 비난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한다. 지난해 12월 미얀마 정부가 자체적으로 구성한 ‘마웅다우 지역 조사위원회(조사위)’는 “학대나 강간이 발생한 증거가 없다”라고 밝혔다. 조사위는 또 “식량 상황도 나쁘지 않아서 아이들의 영양실조 사례도 없다. 이 지역이 고기잡이와 농사짓기에 아주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주장했다.

 

ⓒEPA7월12일 미얀마 서부 아라칸 주 시트웨 시를 방문한 이양희 유엔 미얀마 인권특별보고관(오른쪽).

3월24일 유엔 인권이사회는 미얀마에 ‘진상조사단 파견’을 결의했다. 미얀마 정부 조사위가 진실을 제대로 규명할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유엔 미얀마 인권특별보고관을 맡은 이양희 성균관대 교수가 이 진상조사단 구성을 강력 권고했다. 그러자 아웅산 수치 국가자문역은 유엔 인권이사회가 파견한 조사위원 3명의 비자를 내줄 수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집권 전 아웅산 수치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수치는 지난 2011년 6월, 자국의 인권침해에 대한 유엔 진상조사단 파견을 환영했다. 같은 해 5월 캐나다에서 열린 ‘노벨평화상 여성 수상자 대회’ 축하 메시지에서 수치는 이렇게 주장했다. “내 나라에서 강간은 전쟁의 도구로 사용됩니다. 그저 평화롭게 살고자 하는 여성들, 특히 소수민족 여성들에 대한 군의 강간 문제가 심각합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아웅산 수치의 국가자문역 사무소는 정부군한테 강간당했다고 증언한 로힝야 여성에 대해 “가짜 강간(Fake Rape)”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우여곡절 끝에 미얀마에 입국한 이양희 유엔 미얀마 인권특별보고관 일행은 7월10~21일 현지 조사에 나섰다.

 

기자명 방콕·이유경 (프리랜서 기자)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