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IN 이명익서울 강남역 삼성타운 앞에서 ‘반올림’ 활동가들이 600일 넘게 삼성 직업병 문제의 올바른 해결을 주장하며 농성을 하고 있다.

서울 강남역, 정오의 해를 받아 번쩍거리는 고층 빌딩들이 산처럼 우뚝하다. 마천루의 도시라도 온 양 감탄사를 연발하던 딸아이는 급기야 스마트폰을 꺼내 찰칵찰칵. “엄마, 여기가 강남이야?” 내 대답을 듣기도 전, 아이는 가장 기세 좋은 건물을 가리키며 어디냐고 묻는다. 저 일대가 삼성타운이라고 했다. 아이가 흠칫한다. 우리 집은 수년 전부터 삼성 제품을 쓰지 않는다. 그래도 자기는 저런 ‘화려한 건물’에서 일하고 싶다며 나를 힐끗 본다. 입사도 어렵지만 갈 곳이 못 된다고 난 일축했다. 아이가 재차 묻는다. “내가 삼성 안 가면 백수로 산다고 해도 반대할 거야?”

그때서야 빌딩 아래 비닐 천막이 눈에 들어왔다. 삼성 직업병 문제의 올바른 해결을 위한 시민단체 ‘반올림’ 농성장. 몇 번 지지 방문을 갔을 땐 지하도에서 8번 출구로 나와 곧장 농성장에 들어갔다. 건너편에서 보긴 처음이다. 푸르스름한 유리 건물에 껌같이 희고 넓적하게 달라붙은 모양새다. 풍찬노숙 어언 600일째. 빌딩 꼭대기만이 아니라 저 아래까지 봐야 한다고, 저기에 76명의 영정사진이 걸려 있다고 딸아이에게 일러주었다. 초일류 기업에서 일하다가 죽은 사람들이라고.

해마다 학기 초에 가정통신문이 온다. 아이의 질병이나 고민, 진로를 묻는 신상조사 설문지엔 ‘부모가 원하는 자녀의 직업’ 문항이 있다. 그 공란 앞에서 한참 망설인다. 아이의 욕망과 능력을 잘 알지 못하고, 좋은 직업을 설계하기 곤란한 사회에 산다는 사실을 잘 알아서다. 아무리 부모라지만 남의 직업을 내가 원한다는 설정도 마뜩지 않다. 당사자의 꿈은 수시로 변한다. “초라한 소기업은 질색”이라며 대기업에 다닐 것을 천명하다가 피아니스트가 되겠다고 했다가 그냥 부자면 된다고도 한다. 욕망은 날것이고 희망은 계통이 없다.

나는 딸아이가 선망하는 유수의 대기업을, 으리으리한 건물을, 사보 기자로 일하면서 수년간 드나들었다. 10년 전인데도 모기업 사옥에는 헬스장, 최신 커피 머신과 푹신한 의자가 비치된 카페가 있었다. 직원용 무료 시설이다. 처음엔 부러웠다. 그런데 직원들은 아침에 출근 카드를 찍으면 종일 건물에 갇혔다. 안에서 밥 먹고 차 마시고 일했다. 야근하고 회식하고 헬스장에서 땀을 빼고 책상으로 돌아갔다. 고득점을 위해 개인의 권리와 동선을 통제한 기숙형 입시학원처럼, 그곳은 고생산성을 위한 기숙형 회사 같았다. 노동자의 하루를 통째로 삼키며 기업은 몸집을 불려갔다.


어머니, 저희는 금빛 거미가 쳐놓은
그물에 갇힌 지 오래됐어요
(…)
어머니, 무서워요
금빛 거미가 저희를 먹고
흰 실을 뽑을 거예요
- 금빛 거미 앞에서 (53쪽)

20대에 나도 금빛 건물에서 일했고 30대엔 외부자의 시선으로 살벌한 내부를 뜯어보았다. 40대엔 삼성 직업병 문제, 이랜드의 아르바이트생 임금 체불 사건, 대한항공 임원의 갑질 사건, CJ제일제당 현장실습생의 자살, 연출가의 자살 소식을 접한다. 대기업이 무서워진다. 등 따시고 배부른 정규직도 있겠지만 소수의 안위는 다수의 희생과 침묵을 기반으로 한다. 한 사람의 죽음에 무감한 기업 문화가 미세먼지보다 더 공포스럽다. 아이를 피하게 하고 싶은 것이다.

가정통신문의 부모가 원하는 직업란엔 ‘예술가’라고 썼다. 피아니스트나 화가 같은 협의의 예술가가 아니다. 자기 삶과 노동의 균형, 감성과 이성의 조화를 추구하는 삶의 예술가라는 이상을 담았다. 대기업 직원이든 작은 가게의 점원이든 대수랴. 일할 때 자기 의견과 불편을 말할 수 있고 울고 싶을 때 울 수 있는 직장이고, 남을 눌러야 내가 사는 경쟁 구도가 아닌 자유로운 개인들로 존중하며 동료와 만나는 일이면 좋겠다. “치욕이여,/ 모락모락 김 나는/ 한 그릇 쌀밥이여(23쪽)” 밥 때문에 생겨나는 치욕 앞에 무릎 꿇지 않기를 부디 바랄 뿐이다. 직업엔 귀천이 없지만 삶에는 귀천이 있다.

기자명 은유 (작가)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