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BA 회원은 누구이며 현재 그 규모는 얼마나 되는가? 카길이나 타이슨 푸드 같은 다국적 거대 기업도 NCBA 회원인가?NCBA는 미국을 통틀어 현재 농장주, 목장주 3만1000명이 회원이다. 이 중에는 대목장주도 있지만, 소 10~20마리를 키우는 영세 목장주도 포함된다. 카길, 타이슨과 같은 기업 역시 목축업 동맹 파트너로서 NCBA에 가입해 있다. 하지만 조직의 모든 의사 결정은 목장주 개인 회원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지난 2월25일 이명박 대통령 취임식 때 앤디 그로세타 회장이 참석했다. 이 때문에 NCBA가 한국 정부에 압력을 넣거나 막후 협상에 개입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있다. 어떻게 그가 취임식에 참석할 수 있었나? 왜 한국에 왔나?
앤디 그로세타 회장은 부시 대통령에 의해  미국 공식 사절단 일원으로 뽑혔다. 그는 방한 기간에 이명박 대통령에게 어떤 압력을 넣으려는 시도를 하지 않았고, 한국 정부 관료에게 소 수입과 관련한 말을 한 적도 없다. 한국에서 그로세타 회장은 그저 더 개방적이고 상호 호혜적인 무역 관계를 바라는 미국 기업인 가운데 한 명이었을 뿐이다. 그는 취임식에 함께한 것을 큰 영광으로 생각한다.

 

 

 

 

 

 

‘휴먼 소사이어티’와 같은 미국 NGO는 미국 소가 광우병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말한다.
미국 정부는 소해면양뇌병(BSE·광우병의 공식 이름)을 뿌리뽑기 위해 적극적인 조처를 진행해왔다. 이런 조처들은 크게 성공했다고 증명됐다. 2003년 이래 소 80만 마리가 검사를 받았으나 단 두 건만 문제가 됐다. 미국 정부는 BSE의 확산을 막고, BSE 감염 쇠고기가 도축되지 않도록 여러 단계의 안전망을 구축해놓았다. 미국인은 한국으로 수출되는 것과 똑같은 쇠고기를 먹고 있다.

미국 정부는 소해면양뇌병(BSE·광우병의 공식 이름)을 뿌리뽑기 위해 적극적인 조처를 진행해왔다. 이런 조처들은 크게 성공했다고 증명됐다. 2003년 이래 소 80만 마리가 검사를 받았으나 단 두 건만 문제가 됐다. 미국 정부는 BSE의 확산을 막고, BSE 감염 쇠고기가 도축되지 않도록 여러 단계의 안전망을 구축해놓았다. 미국인은 한국으로 수출되는 것과 똑같은 쇠고기를 먹고 있다.

과연 미국인이 먹는 쇠고기와 한국에 수출되는 쇠고기가 똑같은가? 미국인들은 30개월 이상 쇠고기를 거의 먹지 않는다는 조사결과가 있다.
미국에서 소비되는 쇠고기의 18% 정도는 30개월 이상된 소에서 나온 것이다. 한국에서 수출되는 쇠고기 가운데 30개월 이상 소 것은 더 적다. 과거 사례를 보면 한국으로 수출되는 미국 쇠고기 가운데 약 5%만이 30개월 이상 소에서 나온 쇠고기였다.

NCBA는 미국 최대 로비 단체 중 하나로 알려졌다. 미국 목축업자들이 공화당에 연간 400만 달러 이상을 후원하며 그에 따라 NCBA가 무리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비판이 있다.
NCBA 산하에 NCBA-PAC라는 작은 정치 활동 조직이 있다. 선거 때 이곳에서 후원금을 내는 일이 있다. 하지만 민주당도 마찬가지로 후원을 하며 그 액수는 통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후원금은 합법적으로 관리된다. 당신이 말한 액수는 실제 NCBA-PAC에서 집행한 후원액 규모와는 차이가 있다.
 

 

 

NCBA에서 오랫동안 일하던 사람이 미국 농무부 고위직으로 자리를 옮기는 경우가 많다. 중립성이 훼손되는 것 아닌가?미국 농무부가 그들을 채용한 이유는 전문지식과 경험,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이 목축 산업에 대한 지식이 많다는 것 말고는, 우리 단체가 특별히 이익을 보는 일은 없다.

왜 미국 목축업자들은 한국 시장 개방에 특별히 집착하는가? 다른 나라도 많지 않은가?
한국 쇠고기 시장은 엄청난 매력을 가지고 있다. 한국 소비자가 미국 쇠고기의 품질과 가치를 인정해주기 때문이다. 한국 소비자가 2003년 한 해 미국 쇠고기 8억 달러를 수입했고, 2007년 여름 수입이 재개되자 주문이 쇄도했다는 사실이 이를 잘 보여준다.

현재 서울에서는 매일같이 재협상을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진다. 재협상은 가능할까?
무역 협정은 순수한 과학적 근거에 기반해야 하며, 국제 무역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재협상을 할 필요가 없다.

 

기자명 신호철 기자 다른기사 보기 shin@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